학습질문게시판

[강의]질문

  • 19. 12. 06.
  • 김*원
  • HIT : 2,178
1)This was an amazing night에서
주어는 뭐에요??
this 인가요?

2)주어는 각자 가지고 있는 이름을 말하는건데 왜 this나 it이나 그런게 주어가 되는거에요?

3)기초문장 만들기편도 리듬패턴 노트에 적어야 하나요?

4)were에 대해 잘 이해가 안가서 그러는데 좀 더 설명해 주실 수 있나요?
were이 was의 과거를 그렇게 사용할때 쓰는데 또 you라고 말하고 가리키는 대상이 여러명이면 were라고 설명을 하시는거 잘 이해를 못하겠어요ㅠㅠ
Ross and I were always captains에서 왜
I다음에 was가 아닌거에요?ㅠㅠ
이거를 다이어그램으로 표현하면
Ross and I가 주어인가요?


5)단어들의 시냅스 장면들이 기억이 안나는건 다시 이미지로 계속 찾아봐야하나요?
그리고 이미지들이 갖고있는 내용들이 너무 포괄적이여서 어려운거 같아요ㅠㅠ 그냥 느낌만 가져가면 되나요? 근데 사람은 다 각자의 느낌이 틀리잖아요 그 느낌을 상대방이 알려주는 느낌이랑 다르게 받으면 어떡해요?

6)마지막으로 알려주시는 내용에 대해서 다 이해를 해야하는건지 아니면 기초문장구조는 소리에만 익숙해지면 되는건지 궁금해요ㅠㅠ
    • 소리드림 19. 12. 09
    • 안녕하세요 김*원 수강생님 :)

      답변드립니다.

      1) 네 맞습니다. This가 주어입니다.
      지금 몇강을 수강하고 계신지 모르겠지만, 다이어그램을 그려보시면 좀 더 명확하게 이해가실 것입니다.

      2) 말 할 때마다 이름을 말하는게 비효율적이기 때문입니다.
      한국어로 말할 때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예를들어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에 대해 대화중이라고 생각해 보세요.

      말을 할 때마다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에서 만나자"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근처에는 맛집이 있나?"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몇 번출구에서 만날거야?"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이 4호선이었나?"
      이런식으로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을 언급해야한다면 시간과 노력을 더 써야할 것입니다.

      그래서 보통은 한 두번정도 언급후에는
      아래와 같이 지시대명사를 쓰거나, 아예 생략해버리기도 합니다.
      "거기 맛집있나?"
      "몇 번출구에서 만날거야?"
      "거기 4호선이지?"

      그나마 영어에서는 주어생략이 한국어만큼 자주 일어나지는 않습니다.

      간단히 말해서 this, it과 같은 대명사들은 명사를 대신하여 가르키는 것으로
      언어의 효율성, 편의성을 위해 만들어졌다 생각하시면 됩니다.

      3) 리듬패턴 노트는 소리드림에서 권장하는 복습방식입니다.
      기초문장만들기 뿐 아니라 팝송에서 나온 문장을 적으셔도 됩니다.
      또는 소리드림이 아니라 다른 곳에서 배운 문장도 쓰셔도 됩니다.
      정리하자면, 수강생님만의 영어 말주머니 노트를 만든다 생각하시면 됩니다.
      필요한 문장들이면 언제 어디에서 듣고 배웠던지간에 쓰시고 복습하시면 됩니다.

      4) 정리하자면,
      am, is를 써야하는 주어들에는 was를
      are를 써야하는 주어들에는 were를 씁니다.
      Ross and I가 주어이며, Ross and I는 한 명이 아니라 두 명으로 여러명을 가르키기 때문에 were를 씁니다.

      각 언어마다 문법이 다르기 때문에 한국식으로 이해하려고 하시면 당연히 어렵게 느껴집니다.
      영어라는 언어의 규칙이 이렇다는 것을 천천히 받아들이시면 됩니다.
      언어학자처럼 언어의 규칙과 역사를 모두 안다고해서 말을 잘 하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가 한국어를 자연스럽게 쓰지만 문법들을 속속히 다 알고 있지 않은 것처럼요.

      제가 하고자 하는 말은 낯선 언어를 배울 때에는 시간이 걸리고,
      그 언어의 역사나 규칙을 아는 것도 어느 정도 언어를 익히는 데에 도움이 되기는 하겠지만,
      그것이 언어를 반복해서 보면서 익숙해지는 것보다 우선시 되지 않는다라는 것입니다.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은 수업을 반복해서 들으시고,
      영어동화책 등 쉬운 글들을 자주 접하면서
      천천히 익숙해지는 것이 좋습니다.

      5) 다시 이미지로 찾아보는 것은 좋은 복습방식입니다.
      영한사전을 찾아보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다만, 뜻을 한글로 외우기 보다는 예문을 최대한 많이 보면서 그 단어에 대한 감을 잡으시면 됩니다.

      같은 단어라도 각자 시냅스하는 것은 경험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captain이라는 단어를 시냅스 할 때
      어떤 사람은 캡틴 아메리카라는 캐릭터를 떠올릴 수도 있고,
      어떤 사람은 캡틴 훅이라는 캐릭터를 떠올릴 수도 있습니다.
      어떤 사람은 전쟁터에서 지시를 내리는 captain을 떠올릴 수도 있겠죠.

      이렇게 느낌은 각자 다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화중에 captain이라는 단어를 꺼냈을 때에는
      그 대화의 흐름에 따라 우리가 알고 있는 기본적인 captain이미지에 그 상황을 바탕으로 이해를 할 것입니다.

      일단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복습을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복습을 하시면서 영어가 영어로 이해되는 경험을 하게 되면 이런 부분에 대한 걱정이 사라지실 것입니다.

      6) 기초문장구조 수업에서는 문장구조를 소리로 익히는 수업입니다.
      기존의 딱딱하고 이론 중심적인 문법 수업을 탈피하여, 영어라는 언어의 규칙을 쉽게 익히고,
      지식으로 아는 것을 넘어 회화에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만들어졌습니다.

      다이어그램 복습을 하시면서 수업시간에 들리는 소리에도 집중하며, 듣고 따라하기를 반복하시면 됩니다.
      또 이해가 다 가지 않는 부분은 뒷부분에서 설명되는 것들이 있을 수 있으니,
      1과정 정도는 모두 들어보신 후에, 그래도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이 많고, 다음 과정이 어렵게 느껴지신다면,
      강의를 다시 들으시며 복습하시면 좀 더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소리드림

현재까지 1,514개의 글이 작성되었습니다

학습질문 게시판
글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1079 [학습상담] you'll be fine 과 you're gonna be fine의 차이 [1] 김*수 19.12.08 1,854
1078 [강의] 27강 How to Start a [1] 강*호 19.12.07 2,081
>> [강의] 질문 [1] 김*원 19.12.06 2,178
1076 [학습상담] 발음 [1] 김*지 19.12.06 2,254
1075 [강의] 26강 How to Start a M [1] 강*호 19.12.06 1,716
1074 New 느낌리듬패턴 [1] 변*경 19.12.05 1,854
1073 [강의] 강의 [1] 잠금 정*주 19.12.05 169
1072 학습질문은아니지만 영어관련해서 [1] 이*찬 19.12.05 2,618
1071 [강의] 23강 Rosita Dies 01_3 [1] 강*호 19.12.03 2,143
1070 신청취소부탁드려요. [1] 박*나 19.12.03 1,711
1069 Rosita Dies [1] 공*진 19.12.01 2,743
1068 [강의] How to Tell a Girl You Like Her_3 == > on ? by ? [1] 강*호 19.12.01 2,138
1067 [강의] 질문 [1] 김*원 19.11.30 2,135
1066 [기타] 노래 [1] 김*완 19.11.28 1,789
1065 [교재] 16강 [1] 강*호 19.11.28 2,506
<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